신조어 '디토합니다' = 동의합니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 미디어에서 **‘디토합니다’**라는 표현이 자주 등장하고 있다. 기존에는 잘 사용되지 않던 말인데, 어떻게 생겨났고 왜 이렇게 널리 퍼졌을까?
1. '디토합니다'란?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 미디어에서 자주 등장하는 신조어 "디토합니다"는 상대방의 의견이나 감정에 깊이 공감할 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단순한 동의나 찬성의 의미를 넘어서, 감정을 함께 나누는 공감의 뉘앙스를 담고 있어 젊은 세대 사이에서 특히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2. '디토합니다'의 유래
디토합니다: 라틴어 'Ditto'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동의합니다' 또는 '인정합니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디토합니다"라는 표현은 영어 "Ditto"에서 유래했으며, "동의합니다" 또는 "인정합니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Ditto"는 원래 17세기 이탈리아어 detto("말하다"를 뜻하는 dire의 과거분사)에서 유래했으며, "같은" 또는 "위와 동일"을 뜻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후 영어에서 반복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내용을 가리킬 때 활용되었고, 현대에는 "나도 그렇게 생각해", "동의해" 등의 의미로 일상적인 대화에서도 쓰이고 있습니다.
3. 왜 ‘디토합니다’가 유행했을까?
① 뉴진스 ‘Ditto’의 영향
2022년 글로벌 히트곡 NewJeans의 "Ditto"가 공개되면서 이 단어가 대중적으로 더욱 확산되었습니다. 이 곡의 감성적인 분위기와 가사가 "디토"라는 단어를 감정적인 공감과 연결시키는 역할을 했고, 이후 한국의 젊은 세대들이 "디토합니다"라는 표현을 공감의 의미로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② 재치 있는 언어 유희
기존의 ‘저도요’나 ‘동의합니다’ 대신, 좀 더 유머러스하고 신선한 느낌을 주는 표현을 찾던 사람들이 ‘디토합니다’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한국어에서 어색할 법한 외국어 표현을 재미로 변형하는 인터넷 밈(meme) 문화와도 맞닿아 있습니다.
③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확산
디시인사이드, 트위터(X), 인스타그램, 유튜브 댓글 등에서 처음 사용되기 시작해 가볍고 센스 있는 표현이라 빠르게 확산되었다. 특히, 짧고 간결한 표현을 선호하는 인터넷 문화에서 자연스럽게 자리 잡았습니다.
4. '디토합니다'의 표현 사례
일상 대화에서
A: "요즘 날씨 너무 춥지 않아?"
B: "디토합니다. 아침에 출근할 때 손 시려웠어."
소셜 미디어에서
"이 드라마 진짜 내 마음을 후벼 파는 느낌… 디토합니다."
"시험기간 스트레스 너무 심해요. 디토하는 분들 많을 듯."
밈과 유머 속에서
"월급 들어오자마자 사라지는 거 실화? 디토합니다ㅠㅠ"
"월요일이 제일 싫다… 디토합니다 (절규)"
5. '디토합니다'의 인기 요인
짧고 간결함: 기존의 "저도 동의해요"나 "공감해요"보다 짧고 임팩트 있는 표현이라 활용도가 높습니다.
감성적인 공감: 단순한 동의가 아니라 상대방의 감정을 함께 느낀다는 느낌을 줍니다.
밈 문화와 연결: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밈(meme)처럼 사용되며 자연스럽게 확산되었습니다.
K-팝과 연계: NewJeans의 히트곡 "Ditto"가 대중적인 감성을 건드리며 유행을 가속화했습니다.
6. 신조어 ‘디토합니다’, 어떻게 볼 것인가?
① 자연스러운 언어 변화
언어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특히 온라인 환경에서는 새로운 표현이 빠르게 탄생하는데, ‘디토합니다’도 그런 흐름 중 하나로, 한국어와 영어가 결합된 흥미로운 사례입니다.
② 재미와 소통의 도구
신조어는 단순히 유행을 넘어서, 사람들 사이의 친근함을 형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디토합니다’는 단순한 동의 표현을 넘어, 가볍고 센스 있는 말장난 요소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③ 유행은 지나갈까?
일부 신조어는 반짝 인기를 끌다가 사라지지만, 어떤 표현들은 오랜 기간 살아남아 일상어가 됩니다. ‘디토합니다’가 얼마나 오래 사용될지는 모르지만, 현재로선 많은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즐기고 있는 표현입니다.
이제 누군가가 "오늘 피곤하다"라고 하면?
자연스럽게 이렇게 답하세요 "디토합니다..."